雜동사니

사랑에 빠졌을 때 당신의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도파민, 옥시토신, 바소프레신 등 화학물질들의 역할) 본문

유익할지도/연애와 결혼 관련 이야기

사랑에 빠졌을 때 당신의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도파민, 옥시토신, 바소프레신 등 화학물질들의 역할)

이탠저린 2024. 6. 19. 15:55
반응형
우린 왜 사랑에 빠졌을 때 바보처럼 행동하게 될까요?

 

전문가들에 의하면, 사랑에 빠졌을 때 사람의 뇌에선 여러 화학 물질들이 분비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물질들의 영향으로 이전과는 달리 합리적으로 행동하기 힘들어진다고 하네요. 도대체 사랑에 빠지면 우리 뇌엔 무슨 일이 일어나는 걸까요?

 

오늘 우린 사람들이 사랑에 빠졌을 때 뇌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또 장기적 만남을 통해 쌓아 온 사랑과 갓 만나 느끼게 되는 사랑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알아볼 거예요.

 


'사랑'에 관여하는 뇌의 부위는 어디일까요?

전문가에 따르면 사랑에 관여하는 뇌의 부위는 편도체, 시상하부, 측좌핵 그리고 전두엽이라고 합니다. 각 부위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한번 알아볼게요. 

 

1. 편도체

편도체는 공포에서 기쁨까지 다양한 감정을 처리하는 뇌의 중심 역할을 합니다. 사랑이라는 감정, 특히 끌림과 애착과 같은 반응에 편도체가 관여한다고 하네요.

 

2. 시상하부

시상하부는 기본적인 신체 기능인 배고픔과 갈증을 조절하는 부위인데,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 같은 유대감을 키울 수 있는 호르몬을 조절합니다. 주로 이 호르몬은 성행위, 모유 수유, 출산 중에 분비됩니다. 

 

3. 측좌핵

측좌핵은 뇌의 보상 시스템을 구성하는 중요 부위입니다. 로맨틱한 사랑과 애착을 느낄 때 이 부위에서 기쁨과 만족감을 만들어냅니다.

 

4. 전두엽

전두엽은 의사 결정을 비롯, 사회적 행동을 포함한 고등 인지 기능을 담당합니다. 사랑에 빠졌을 때 전두엽은 상대의 비언어적 암호를 해석하고 감정을 조절하여 로맨틱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는군요.

 

슴슴하고 건강에 좋은 오트밀과 달달하고 짜릿한 초콜릿

 

어떤 전문가는 사랑을 두 가지 종류로 나누는데요, 일명 '오트밀맛 사랑'과 '초콜릿맛 사랑'이라고 합니다. (이 용어들은 과학적인 용어는 아니나, 과학을 잘 모르는 사람들에겐 유용할 수 있습니다.) 

 

'오트밀맛 사랑'은 각종 우여곡절을 견뎌낸, 장기간 지속되어온 사랑의 형태입니다. 오트밀맛 사랑은 장기적인 애착과 유대감 형성과 관련된 신경 네트워크를 통해 순환하는 강력한 화학 물질들이 주도하여 만드는 사랑입니다.

 

반면 '초콜릿맛 사랑'은 지속 가능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초콜릿맛 사랑은 낭만적이고 에로스적인 사랑에 더 가까운 것으로, 뇌에서 단기간 급증하여 분비되는 화학 물질과 관련이 있어요.

 

 


사랑에 빠지면 우리의 뇌엔 무슨 일이 일어날까요?

 

1. 애착과 관련된 뇌 영역의 활성화

사랑에 빠지면 편도체와 시상하부와 같은 인간의 '애착'과 관련된 뇌 영역이 더 활발하게 움직입니다. 이로 인해 상대에게 감정적으로 애착을 갖게 되고, 가까이 있고자 하는 욕구가 커지게 되죠.  

 

2. 상대를 최우선 순위에 둠

사랑에 빠졌을 때를 생각해 보세요. 당신의 머리가 상대방을 최우선으로 두지 않나요? 이땐 주의력이 높아지고, 공감 능력이 증가하며, 상대를 이해하고 도와주고자 하는 욕구가 생깁니다

 

3. 유대감을 키우는 호르몬이 분비됨

앞서 언급했듯이, 바소프레신은 옥시토신과 함께 시상하부에서 분비됩니다. 바소프레신은 수분 유지 관리부터 혈압 조절, 사회적인 행동 촉진하는 역할까지 매우 다양한 역할을 합니다.

 

4. 더 많은 희생과 위험을 감수함

사랑에 빠지면 사람들은 때때로 엉뚱한 행동을 하게 됩니다. 사랑은 참 놀라운 일이에요. 뇌가 위험과 보상을 평가하는 방식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죠. 사랑이 주는 보상이 잠재적으로 단점일 수 있는 부분까지 능가한다고 생각하게 되는 순간까지 옵니다. 따라서 사랑에 빠진 사람은 더 많은 위험이나 희생을 감수할 수 있습니다.  

 

 


뇌에서 인식하는 장기적 사랑과 단기적 사랑의 차이점

전문가들에 따르면 '장기적 사랑'의 경우 옥시토신과 뇌의 오피오이드뿐만 아니라 프로락틴과 도파민 같은 행복감을 주는 물질들이 관여한다고 합니다. 우리가 사랑에 빠졌을 때 이런 물질들은 자극받게 되는데, 이 물질들은 시간이 지나도 상대를 향한 배려심과 애착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새로운 사랑의 감정은 다릅니다. 갓 피어난 사랑 역시 애착 시스템과 옥시토신을 자극 시키긴 하지만, 이 사랑은 '욕망'에 더 가까우며 이 욕망은 '번식'과 더 관련이 있습니다.

 

만난 지 얼마 안된 상대와의 새로운 사랑의 경우,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보상'과 '쾌락'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이 급증합니다. 이 신경물질들은 강렬한 행복감을 가져다주는 건 물론, 관계를 잘 유지하고자 하는 동기를 유발하죠. 측좌핵과 같은 보상 처리를 담당하는 뇌 영역 역시 활성화되기 때문에 우린 이때 강렬한 쾌락과 욕망을 느낍니다.


그러나 관계가 깊어지고 장기적인 사랑으로 발전하면, 시상하부와 전두엽의 일부가 활성화되면서 애착과 유대감이 형성됩니다. 이 신경 물질들은 안정감, 신뢰, 감정적 친밀감을 키울 수 있게 도우며, 두 사람 간 깊은 유대감을 형성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합니다.

 


남녀 간 사랑과 다른 형태의 사랑(플라토닉 사랑, 가족애) 간 차이점

세상엔 여러 사랑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로맨틱한 사랑은 플라토닉 사랑이나 가족애와는 다릅니다. 왜냐하면 로맨틱한 사랑은 근본적으로 '욕망'과 관련된 행복감을 주는 여러 화학 물질들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그 외의 사랑들은 누군가를 돌보고 케어하는 과정에서 뇌에서 형성된 지속적 유대감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로맨틱한 사랑의 또 다른 점이 있다면, 이 사랑은 신경 경로, 감정의 강도, 행동점은 관련된 신경 경로, 감정의 강도, 그리고 행동적 표현 면에 있어서도 다른 사랑들과 다른 형태를 보입니다.

 

예를 들어, 호르몬 관점에서 보았을 때 로맨틱한 사랑은 도파민, 옥시토신, 바소프레신과 같은 호르몬의 변동이 일어납니다. 이 호르몬들은 각성, 유대, 애착에 중요한 역할을 하죠. 이 호르몬들은 다른 유형의 사랑에도 관여하지만, 그 수준과 분비 패턴은 다를 수 있습니다. 

로맨스는 로맨스만의 강렬한 특징이 있어요

로맨틱 사랑은 또한 특정 한 개인에 대한 강한 열정, 욕망, 그리고 로맨틱한 매력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 유형의 사랑은 종종 상대방을 이상화하고, 두 사람 사이의 신체적·감정적 친밀감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어요. 반면 플라토닉 사랑, 가족을 향한 사랑의 경우엔 동반자 관계, 상호 존중, 함께 한 경험들을 중시하지만, 로맨틱한 매력이나 성적 욕망의 강도는 낮을 수 있습니다.

 

 


출처 purewow

 

What Happens to Your Brain When You Fall in Love, According to a Neuropsychologist & a Somatic Psychologist

Wondering what happens to your brain when you fall in love? I spoke to a neuroscience professor and somatic psychologist to learn more, including the difference between long-term love versus infatuation and romantic love versus platonic love.

www.purewow.com

반응형
Comments